사회가 급변하면서 날로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런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치과적 문제를 가지고 치과에 찾아 오는 사람들도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누구나 알 듯이 정신 질환자는 정상인과는 달리 뇌의 장애로 인하여 지능, 지각, 기억, 행동, 정동, 표정, 성격 등 여러 장애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정신질환자에게 구강보건진료를 한다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울 수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구강보건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리라 생각되어지며, 이에 따라 프로그램제작시 고려해야 할 몇가지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의 장애로 인한 구강보건관리 능력의 저하를 들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환자는 양치질을 제대로 못하거나 안하여 자연히 구강내 음식물 잔사가 장기간 저류하기 대문에 치주질환과 치아우식증이 다발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한다. 대처방법으로는 불필요한 간식 섭취를 줄이고 간식후 꼭 물양치라도 하게 하며, 올바른 잇솔질 등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관리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다음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정신질환치료에 쓰이는 약물로 인한 구갈이다.
이로 인하여 환자는 다발성 치아우식증 특히 치경부 우식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치은염의 발생도 증가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한다.
대처방법으로는 음료수를 소량씩 마시거나, 물로써 입안을 행구거나, 무설탕껌을 씹도록 권장해야 한다.
셋째로는, 뇌의 장애로 인한 집중력, 기억력, 주의력 감소로 의사전달의 부정확성을 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오해가 생기고 의사와의 충돌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대처방법으로는 효과적인 대화방법을 찾는 것이며, 요약하면 간단히 말해주고, 진지하게 들어주과 인내심을 가지고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설명해 주는 그것이다.
넷째는, 폭력적이라는 선입견이다.
이로 인하여 치료자들이 치료를 기피하거나 소극적인 방어 치료만을 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대처방법으로는 먼저 정신질환자의 공격성향을 일반인에 비해 결코 높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며 구강건강관리나 치료시 한단계 한단계 자세히 설명해 주고 환자가 이해가 되었다고 판단이 될 시에만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하며, 일반인 치료와 마찬가지로 의료분쟁예방 10가지 수칙을 정신질환자에게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치료후 환자가 통증이나 불편함 호소시 감정의 동요나 무시함이 없이 환자의 증상을 진지하게 듣고 자세히 기록하고 성실히 검사해
보아야 하며 의학적 소견이 다를 시 통증과 불편함은 인정하되 일관되게 안심시키며 의사로써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럼에도 계속 통증호소시에는 정신과 전문의에게 상의하여야 하며, 경우에 따라 더 이상 알아낼 수 없음을 환자에게 말하고 다른 치과로
가보도록 권해야 하며 이때에는 반드시 상세한 소견서를 첨부해야 한다. 그럼에도 문제제기시에는 환자와 이야기 하지 말고 꼭 친권자를 불러 친권자와만 이야기해야 한다는 정신과 환자의 치료원칙을 지켜야만
한다.
그 외에도, 장기적인 입원에 따른 타성으로 의욕의 상실과 보호자나 본인 스스로의 구강건강관리의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이유로 정신질환자들의 치아상실 시기와 구강병 발생시기는 정상인에 비하여 상당히 앞당겨 질 수 밖에 없고, 현저히 저하된 구강보건관리의 취약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더 철저한 구강보건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보호자나 정신간호사에게의 구강보건교육은 환자의 관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임을 명심하여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