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NC▶
고르지 못한 치아는 사람의 인상을 좌우할 정도로 미관상 좋지가 않죠.
◀ANC▶
그래서 자녀의 이가 고르지 못하면 교정을 해 줘야 하나, 부모님들 걱
정이 많으실 텐데요. 황선숙 아나운서와 이 교정에 대해서 함께 자세
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황선숙 아나운서 ▶
안녕하세요.
◀ANC▶
차아교정, 무조건 일찍 시작한다고 좋은 게 아니라면서요?
◀ 황선숙 아나운서 ▶
그렇습니다. 아랫니와 윗니의 치아교합이 어떻게 잘못됐느냐에 따라
서 그 치료시기가 서로 다릅니다. 예전보다 얼굴형이 갸름한 서구형
으로 변하면서 우리 어린이들에게 이 부정교합이 발견되는데요. 아랫
니와 윗니의 치열이 고르지 못해 발생하는 부정교합에 대해서 오늘
자세한 내용 알려드리겠습니다.
◀VCR▶
치아는 사람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입니다. 때
문에 어려서 치아에 문제가 나타나면 부모님들 입장에서는 걱정스러
울 수밖에 없는데요.
◀INT▶ 신선옥/부정교합 어린이 보호자
"우리 아이가 계속 크면서 보니까 턱이 보통사람보다 없는 거예요. 그
래서 제가 가만히 보니까 이가 서로 맞지 않으니까 씹는 걸 잘 못 하
고 소화를 잘 못 시키더라고요. 그래서 보면 턱이 없으니까 보기에도
안 좋고 외관상 너무 제가 가슴이 아프더라고요, 정말 아닌 게 아니라..."
이처럼 윗니와 아랫니 치열에 이상이 생겨 음식을 씹을 때 이상이 생
기거나 입이 바르게 다물어지지 않고 얼굴에 기형이 발생하는 현상을 부정교합이라고 합니다.
부정교합은 유형에 따라서 1급, 2급, 3급으로 나뉩니다.
1급 부정교합은 어금니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어금니는 정상적으로 맞
물리는데 앞니 치열 상태가 잘못돼 생기는 유형입니다.
2급 부정교합은 윗어금니보다 아래어금니가 뒤로 가 있어 턱이 안쪽
으로 들어간 상태가 됩니다.
3급 부정교합은 윗어금니보다 아래어금니가 앞으로 나와 턱이 돌출
된 형태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주걱턱이 됩니다. 이렇게 부정교합
이 나타나는 원인은 바로 잘못된 생활습관에 있습니다.
◀INT▶ 최동주 교수/한림대 치과병원
"아주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 원인은 아이들이 손가락을 빠는 행위입니다. 예를 들면 아이들이 엄지손가락을 이렇게 입에 대
고 빠는 이런 행위 통해서 위의 턱은 앞으로 나오고 아랫턱은 안으로
밀려들어가는 그런 부정교합 현상들이 생길 수가 있고요.
또 자주 볼 수 있는 건 아이들이 입술을 깨뭅니다. 아랫입술을 깨물거
나 윗입술을 깨물면 입술을 계속해서 깨물다 보면 치열에 힘이 받아
서 그것이 부정교합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혀를 내밀거나
하는 그런 습관에 의해서 부정교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잘못된 생활습관 외에도 젖니가 너무 일찍 빠지게 될 경우 부
정교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INT▶ 노원종/치과 전문의
"일반적으로 젖니 하면 후속 영구치가 나올 때까지 공간을 확보
해 주는 역할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조기에 젖니가
상실이 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식사를 못 해서 영양 흡수를 못 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후속 영구치가 나올 공간이 상실되기
때문에 나중에 커서 부정교합이 발생할 수 있는 그런 환경적 요
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교정검진은 6세에서 8세 정도에 받는 것이 좋으며 전문
가와 논의해 교정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조건 빨리 교정
을 시작한다고 효과가 좋은 건 아닙니다. 개인의 발달상태와 부정교
합 유형에 따라서도 적절한 치료시기가 있기 때문이죠.
◀INT▶ 백승학 교수/서울대치과병원 교정과
"1급 부정교합의 경우에는 초등학교 4학년 내지 6학년경에 치료를
시작하는 게 가장 좋겠고 그리고 하악이 후퇴된 2급 부정교합의 경
우에는 후기혼합치열기인 최대 성장기 직전에 치료를 해서 하악골의
성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좋겠습니다. 3급 부정교합의 경
우에는 1급 부정교합보다 다소 빨리 치료를 시작해서 상악유전치가
소실되고 영구중절치가 올라오는 경우에 시작하면 되겠습니다."
부모가 교정을 원한다 하더라도 정확한 진단으로 시술에 적합하지 않
은 상태라는 결과가 나오면 3개월에서 6개월마다 정기검진을 받으
면서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모님들께서 자녀들의 행동을 잘 관찰해 보는 겁니다. 잘못된 습관
을 갖고 있다면 반드시 그 행동을 바로잡아 부정교합을 미리 예방해
야 합니다.
◀ANC▶
그런데 이 교정치료를 시작할 때 자녀들과 충분히 논의할 필요가 있
다고요.
◀ 황선숙 아나운서 ▶
그렇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교 사이는 감수성이 가장 예민
할 시기입니다. 자칫 치아교정 치료 때문에 정서발달이나 또 이런 사
회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면 안 되겠죠. 이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부모
님들은 자녀들과 충분한 대화와 논의를 거쳐서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
기 바랍니다.
◀ANC▶
황선숙 아나운서,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